본문 바로가기

생활

카페에서 왜 공부하는 걸까

 

카페에서 공부하거나 작업하는 사람들이 있다.

카페에서 공부하면 잘 되는 이유에는 백색소음 등이 손꼽힌다.

하지만 소위 말해 카공족은, 아니 너무 장시간 있는 손님은 카페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손님일 수 있다.

그건 어떤 업종을 하든 대개 비슷하다.

일을 하는 입장에서도 장시간 오래 있는 손님은 신경 쓰이기 마련이다.

 

 

개인적으로는 카페는 차 마시러 가고 사람 만나러 가는 장소라 생각해서 공부까지는 해 본 적이 없다.

그래도 가끔 차 마시고 스마트폰 도서 앱으로 30분 남짓 책 읽다 올 때가 있는데 약간은 그 심리와 기분은 이해는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공부는 도서관에서 하고, 책은 집이나 도서관에서 읽으면 된다고 여길 수 있는데 도서관은 너무 멀고, 카페는 흔하고 가깝다.

또 개인공간에서 하기에는 도무지 집중이 안 될 때가 있다.

그래서 작업실, 도서관, 집 등에 있다가 집중이 떨어지면 차도 마실 겸 카페에 갈 수 있다 여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카페에서 차 마시는 것 외에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일부러 그러는 건 아닐 거라는 사실이다.

 

물론 작심하고 카페에 공부하러 가야지! 할 마음으로 장시간 있으며 전기까지 사용하며 오가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집중이 안 돼서 어딘가에 있다가 떠나온 사람들일 가능성이 많다.

그것도 아니면 같은 손님으로서는 보기에는 도서관 자리는 다 찼고 공강에다 학교 앞은 카페니 잠깐 들어왔다 공부하는 모습을 본 것인지 어떻게 알까.

 

사실 카페에서 잠깐 공부하고 일한다고 해서 공부나 일의 능률이 얼마나 오를 수 있을까도 의문이다.

공부할 거면 오히려 스터디카페에서 하는 게 더 낫다.

너무 집중이 안 돼서 스터디 카페에 책 들고 책 읽으러 간 적도 있는데 다른 사람들 다 열심히 공부하는데 혼자 일반 책 읽고 있으니까 그런 곳에서는 공부 안 하면 눈치 보이는 효과까지 있었다.

 

 

 

그러니 무작정 카페에서 왜 저러지? 하며 호도하고 보기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아니 그렇다고 하기에는 책 읽을 일도 없고, 공부할 일도 없고, 도서관도 카페보다는 너무 가깝고, 집에서도 공부가 너무 잘된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지만 공간이 주는 힘이라는 건, 사람에게 일어나는 공간의 전환과 변화라는 건 비교적 크다.

 

 

사람은 한 공간에 오래 머물면 답답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건 아무리 넓은 공간이어도 그럴 수 있다.

 

즉, 공간은 사람의 외부 환경을 심리적으로 환기시키는 측면이 있다.

 

 

 

어찌 됐건 카페는 음식점과는 다르고 차만 마시기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모이는 확장된 공간이 되어버렸다.

그러니 너무 장시간 앉아있는 게 아니라면 어느 정도의 같은 손님 입장에서는 이해해 볼 필요도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아니더라도 그 누구라도 카페에서 책 읽을 일이, 공부할 일이 생길 수도 있다.

 

그리고 이건 어디까지나 상식선에서 하는 이야기다.

당연히 어느 가게나 자영업자나 다른 사람에게 피해 주는 손님은 비판받아야 마땅하다.

 

 

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카페의 평균 체류시간은 1시간 24분이고. 4,100원 커피 가격에 한 테이블당 1시간 42분이 적정하다고 한다.

그러니 의도치 않게 카페에 민폐주기 싫다면 대강 음료 가격과 평균 체류시간으로 감안해서 이용하면 되겠다.

그렇지만 또 그렇게 보기에는 시간도 다 가격으로 계산되는 야박한 듯, 당연한 듯한 사회.

 

그런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시간도 단지 차 마실 목적으로 있기에는 길다.

사람 만나는 게 아닌 이상 혼자 가서 일단 차 마시고 1시간 이상 카페에서 뭘 할 수 있는 게 없다.

 

 

그런데 낯선 공간도 익숙해지면 공간의 환기는 집중에도 큰 효과를 미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차라리 자신이 자주 머무는 공간에 변화를 주는 게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젊은 학생들에게는 그런 변화무쌍할 공간이 있을리가 없지만 그래도 적어도 눈치는 안 받을 수 있다.

 

사진 출처 : freepik, pexels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