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는 전기장판, 전기히터, 온풍기 등의 난방기기의 사용 증가로 화재 위험이 높아진다.
그렇다면 실제로 겨울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기장판 화재 건수와 그 비율은 어떻게 될까.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1년~2023년간 전기난로와 전기장판 화재는 총 1,403건이었고 이로 인해 21명이 사망하고 142명이 다쳤다.
특히 전기장판 화재는 대부분 사용자의 기기 사용 부주의로 발생하며 화재 건수도 2021년 이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전기난로는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물질을 가까이에 두어 화재가 많이 발생했다.
한파가 기승을 부리는 12월~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장판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전기장판 바닥면이 접히거나 무거운 물체에 눌리지 않게 조심하고, 너무 과도한 이불을 겹겹이 쌓아 전기장판이 과열되지 않게 사용해야 한다.
침대의 라텍스나 메모리폼 매트리스 위에서 전기장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열 축적 특성으로 인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저온으로 사용하거나 가급적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보관 중이던 전기장판 및 전기난로를 꺼내 사용할 때는 플러그와 전선, 열선 등이 헐거워지거나 벗겨진 곳은 없는지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사용하도록 하고, 전기난로 주위에는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아야 한다.
무엇보다 전기장판과 전기난로를 고온으로 사용할 때는 과열에 주의하며 타이머 설정 후 사용하고, 반드시 외출할 때는 전원을 끈다.
소방청 발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난방기기 화재 8,544건 중 전기장판 관련 화재가 2,443건(28.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도 한 만큼 겨울철 전기장판과 전기난로로 인한 화재는 적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난방기구를 사용할 때는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과열을 주의해야 화재의 위험을 줄이고 보다 안전하고 따뜻하게 겨울을 보낼 수 있다.
사진 출처 : adobe stock, flaticon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벅스 딸기 촉촉 초코 생크림 케이크 후기 (0) | 2025.01.16 |
---|---|
월레스와 그로밋 복수의 날개 (0) | 2025.01.15 |
다음 로고색 변경 이유 (0) | 2025.01.13 |
비비고 오징어튀김 후기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