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세균과 곰팡이는 많은 미생물의 종류 중 하나다.
흔히 세균과 곰팡이를 비슷한 균으로 여길 수 있으나 세균과 곰팡이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세균 (Bacteria)
단세포 생물
세포 내 핵이 없는 원핵생물
형태 : 구균(공 모양), 간균(막대 모양), 나선균(구불구불한 모양) 등의 다양한 형태
크기 : 일반적으로 0.2~2.0 마이크로미터(µm) 정도의 크기
세포벽 :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으로 구성
번식 : 이분법을 통해 번식
생식 : 무성생식만 가능
감염 : 사람에게 감염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음
색상 : 대부분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무색이지만, 염색을 통해 관찰 가능
종류 : 대장균,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사상균, 결핵균 등의 다양한 종류
사람의 몸에 상재균으로도 존재하며 병원균도 포함됨
서식 : 거의 모든 환경에서 발견 가능
곰팡이 (Mold)
다세포 생물
세포 내 핵이 있는 진핵생물
형태 : 균사체와 포자를 형성
크기 : 세균보다 크고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미터부터 수 밀리미터까지 다양
세포벽 : 키틴(chitin)으로 구성
번식 : 주로 포자를 통해 번식
생식 :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모두 가능
감염 : 사람에게 감염성 질병을 유발하지 않지만 일부 곰팡이 독소는 인체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음
색상 :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흰색, 노란색, 초록색, 푸른 색, 검은색 등으로 다양
종류 : 아스페르길루스, 페니실륨 등의 다양한 종류
서식 : 습하고 유기물이 있는 어두운 환경에서 발견 가능
세균과 곰팡이는 핵의 유무, 번식 방법, 감염 반응, 번식 장소, 색상 등에서 여러 차이를 보인다.
대체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의 종류로는 세균이 곰팡이보다 위험할 수 있지만, 곰팡이도 식품인 쌀, 곡류, 호밀 등에 번식할 경우 독소를 발생시켜 위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곰팡이는 식품에 번식할 경우 눈에 보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세균이 일으키는 식중독보다는 인체에 더 무해하다.
대신 곰팡이는 습한 실내 환경에서 번식될 경우 위생과 호흡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편이다.
사진 출처 : wikimedia commons, freepik, flaticon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친타월이 기름을 잘 흡수하는 이유 (0) | 2024.07.17 |
---|---|
DNA RNA 미토콘드리아 (0) | 2024.07.16 |
홈플러스 새우튀김 후기 (0) | 2024.07.12 |
메디폼 사용 후기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