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신용등급 조회하면 신용등급 내려갈까

 

신용등급은 개인이나 기업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금융기관이나 대출 기관이 신용거래와 관련된 위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과거에는 1~10등급으로 이루어진 등급제였지만 2021년부터 점수제로 신용평가기관이 0점부터 1000점 만점의 점수 범위로 산정한다.

 

 

대표적인 신용평가기관으로는 KCB(코리아크레딧뷰로)와 NICE신용평가정보가 있으며 신용점수 조회는 각 신용평가기관의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다.

 

 

금융기관이 설립하고 활용하는 대한민국 대표 신용정보 올크레딧

대한민국 대표 신용평가사가 제공하는 맞춤형 신용관리, 무료 신용점수 확인 및 마이데이터 등록을 통해 신용점수 상승 경험을 해보세요

www.allcredit.co.kr

 

나이스지키미

1위 신용평가기관, 신용점수 올라가는 나이스한 신용습관

m.credit.co.kr

 

흔히 생각하기에 신용등급은 대출을 목적으로 필요한 것이므로 등급의 관리는 중요하지 않다고 여길 수 있다.

하지만 대출을 하지 않더라도 신용 등급은 신용카드 발급, 휴대전화 할부 구매, 집 임대, 취업, 보험료 산정 등에서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대출을 하지 않더라도 신용관리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다면 신용등급을 자주 조회하면 신용등급이 떨어질까.

과거에는 신용조회 기록이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던 시절이 있었지만 현재는 본인이 자신의 신용등급이나 점수를 조회하는 것은 신용평가에 반영되지 않는다.

 

하지만 대출 심사, 신용카드 발급 등의 목적으로 금융기관에서 신용조회를 자주 해 대출 심사 기록이 많아지면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는 있다.

 

 

일상에서 직접적으로 대출을 위해 신용등급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신용등급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금용 거래에서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신용점수 700점대가 무난하게 대출이나 신용카드 발급에서 큰 제약 없이 승인받을 수 있는 수준이다.

 

신용등급은 금융기관과의 거래 이력을 바탕으로 하므로 금융 거래 기록이 전혀 없는 사람은 신용등급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미성년자는 일반적으로 대출이나 신용카드 발급과 같은 신용거래가 제한되기 때문에 금융 거래 이력이 생기기 어려워 신용등급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단순 저축과 예금도 신용 기록과는 무관해 신용등급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신용등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신용거래(대출, 신용카드 사용 등)이다.

따라서 대출을 하지 않더라도 학자금 대출을 받거나 성인이 된 후 신용카드 발급을 받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신용등급이 형성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휴대폰 사용 기록, 할부 구매, 요금 등의 연체도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한번 생긴 신용등급을 없애거나 신용거래 기록을 지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신용카드를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신용거래 기록이 없을 경우 신용평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는 적절히 사용하고 관리하는 것이 신용점수을 유지하고 올리는데 도움이 된다.

 

 

사진 출처 : freepik.com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