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인터넷 끊기는 이유와 인터넷 트래픽 사용량 높은 순서

 

흔히 인터넷이 끊기거나 와이파이 연결이 불안정하면 모뎀이나 공유기의 기기 결함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트래픽 과부하가 주요 원인인 경우도 있다.

 

 

인터넷 트래픽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양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의 흐름을 말한다.

예컨대 웹사이트를 탐색하거나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하는 동안의 모든 데이터가 트래픽으로 간주되고, 트래픽은 인터넷 속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인터넷이 자주 끊기거나 속도가 느려질 경우 무조건 기기적 문제로 판단하기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용을 크게 웹서핑과 검색, 동영상 시청, 게임으로 봤을 때 트래픽 사용량이 많은 활동의 순서는 동영상 시청, 게임, 웹서핑 순이다.

 

인터넷 트래픽 사용량 높은 순서

 

1. 동영상 시청

넷플릭스, 유튜브, OTT 등의 동영상 시청은 대량의 데이터와 트래픽을 증가시키는 활동으로 4K, Full HD은 인터넷 트래픽을 가장 많이 소모한다.

2. 게임

온라인 게임 자체는 트래픽 소모량이 작은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게임 유형에 따라 다르며, 온라인 멀티플레이 게임이나 클라우드 게임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해 많은 트래픽을 발생시킨다.

3. 웹 서핑

웹사이트 페이지가 복잡하거나 이미지 및 동영상을 많이 포함할 경우 트래픽을 많이 발생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웹서핑 과 검색 때 전송되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데이터는 트래픽 문제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자의 웹서핑은 적은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트래픽 사용량이 가장 적지만, 동영상 스트리밍과 게임은 화질이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소비하고 다운로드 등으로 인해 높은 트래픽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언뜻 인터넷 사용자의 활동으로 발생되는 트래픽 소모량이 어떻게 인터넷을 끊기고 고장나게 할 수 있는 것인지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

 

인터넷의 원리는 가입된 회선 속도(예: 100Mbps)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며 모뎀과 공유기를 통해 연결을 분배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속도는 보통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으로 측정되며, 대역폭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의미한다.

 

 

보통 회선 속도가 높거나 낮더라도 혼자 사용할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여러 사람이 한 회선을 공유하면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하게 되므로 인터넷 속도에 영향을 미치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00Mbps의 대역폭을 5명이 공유한다고 하면 이론적으로 각 사용자는 최대 20Mbps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한 회선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사용할 경우 각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에 따라 속도가 느려지거나 끊기는 등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인터넷이 끊기거나 느려지는 이유를 잘못 인지하고 기기적 문제(공유기 고장, 인터넷 선 문제 등)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기기 결함으로 인터넷 장애가 생기기도 하지만 공유기 고장도 트래픽 과부하가 성능을 저하시켜 생기기도 한다.

 

 

그러므로 일시적으로 인터넷을 고치더라도 사용자의 게임이나 동영상 시청이 트래픽 과부하를 발생시키고 인터넷 끊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면, 이러한 문제는 반복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가정 내에서 인터넷 속도 저하나 끊김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웹서핑을 주로 하는 가족 구성원이 게임이나 동영상 시청을 자주하는 가족 구성원으로 인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동영상 시청과 게임은 트래픽을 과도하게 발생시켜 회선의 모든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인터넷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고 인터넷이 끊기면 기기적 결함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 까닭이다.

 

 

따라서 인터넷이 자주 끊기면 인터넷 속도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고성능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인터넷 회선을 공유하는 사용자들 간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이해와 조율이 필수적이다.

 

만약 조율이 안 되는 경우 게임이나 동영상 시청이 잦은 사용자는 단독 회선을 개통해 사용하는 것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이다.

왜냐하면 게임이나 동영상 시청을 자주 하지 않는 일반적인 웹서핑 사용자가 인터넷 속도 저하나 끊김 현상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 트래픽 과부하를 일으키는 사용자나 그러한 활동에 반감이 생길 수 있을 뿐더러 지속적인 불편으로 피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 freepik, adobe stock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