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채소 시드는 이유

728x170

채소가 시드는 이유는, 당연히 흙에서 수확된 채소가 수분을 잃었기 때문이다.

 

모든 식물의 싱그러운 잎과 형태는 수분으로 인해 유지된다.

그래서 채소도 흙에 심겨져 있을 때는 뿌리를 통해 자연스럽게 수분을 흙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지만, 수확되고 나면 채소는 더 이상 외부에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없다.

 

 

결국, 자연에서 걷어진 채소는 식물 세포의 남아있는 수분만으로 상태가 유지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수분을 잃고 서서히 시들어간다.

 

 

냉장고에 채소를 보관해도 마찬가지다.

냉장고의 역할은 식품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일 뿐 자연적으로 채소 내부의 수분 증발을 막지는 못한다.

 

게다가 냉장고하면 차가운 온도로 인해 식품이 신선하게 유지된다고 여기기 쉽지만, 냉장고의 공기는 차가운 대신 내부 습도는 낮아 채소의 수분이 증발하기 쉽다. 이는 차가운 겨울철 대기에 습기가 부족해 작물이 건조하게 마르는 것과 유사하다.

이런 이유로 냉장고에 채소를 보관할 때는 비닐 봉지, 밀폐용기, 또는 신문지에 싸서 보관하는 것이다.

밀폐해 보관할 때도 물기를 잘 닦아내지 않으면 채소가 상하거나 변질될 수 있으므로 씻은 채소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보관해야 한다.

 

 

물론 모든 채소 및 과일의 특성은 다르기에 모든 신선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잎채소를 제외한 감자, 양파, 마늘 같은 뿌리 채소도 직사광선을 피해 통풍이 잘 되고 서늘한 실온에서 보관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뿌리 채소는 상온에서 보관하지만 냉장보관 할 때도 흙이 묻어져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흙이 외부의 온도 변화나 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채소와 과일의 세포가 머금고 있는 수분 손실을 줄이려면 공기와의 접촉을 줄이고 습도를 잘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리고 채소는 수분이 부족해도 시들지만 수분이 과다해도 시들므로 채소의 종류에 맞는 적정한 보관법이 중요하다.

수분이 증발하거나 과도하게 수분에 노출돼 시든 채소는 요리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하지 않을 뿐더러 신선도와 식감, 맛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냉장 보관시 차가운 공기가 채소에 물기를 만든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채소에서 자연적으로 빠져나온 물기가 냉장고 내부에서 식품의 곰팡이와 부패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모든 채소와 과일, 자연식품 및 가공식품은 냉장고에 보관하더라도 가능한 빨리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보관 중인 식품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신선한 상태에서 소비하고, 상한 식품은 적절히 폐기해야 한다.

 

 

사진 출처 : freepik.com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