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 세제 브랜드 종류
LG 생활건강 : 테크, 수퍼타이, 피지
애경 : 스파크, 리큐
라이온코리아 : 비트
피죤 : 액츠
퍼실 (헨켈/독일 브랜드), 다우니 (P&G/미국 브랜드), 커클랜드 (코스트코/미국 브랜드 ), 살림백서 등등
가루 세제와 액체 세제 차이
세정력은 액체 세제보다 가루 세제가 낫다.
가격은 가루 세제보다 액체 세제가 비싼 편이다.
세탁 후 옷의 찌꺼기는 액체 세제보다 가루 세제가 많이 남을 수 있다.
액체 세제가 가루 세제보다 물에 잘 녹는다.
액체 세제는 가루 세제보다 더 빨리 소모하게 된다.
세탁 세제의 형태는 가루와 액체형으로 크게 나지만 캡슐형과 시트형 등 다양한 편이다.sss
형태는 기호에 따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통돌이) 세탁기, 드럼형 세탁기 종류에 맞게 선택해 사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일반용 세탁 세제를 드럼 세탁기에 넣으면 안 되고 드럼 세탁기에 일반용 가루 세제를 넣으면 안 된다.
이는 세탁기의 세탁 원리에 따라 구분되는데 일반 세탁기는 회전력을 이용하며 물을 많이 사용하고, 드럼 세탁기는 낙차의 폭을 이용해 물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럼 세탁기에는 거품이 많이 나는 가루 세제보다 거품이 적게 나는 액체 세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거품은 세정력과 관련이 없고 가루와 액체도 적정 사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가격이나 형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세탁 세제 양
세탁용 세제는 세탁 세제의 계량컵을 이용해 보통 1컵을 부으면 7kg을 세탁할 수 있는 양이 된다.
사람의 의류는 상하의, 속옷 (일반적인 가벼운 착장일 때) 등을 다 합쳐도 1kg~2kg을 넘지 않는다.
몸무게를 잴 때 옷을 입고 재었을 때와 벗고 찍었을 때를 떠올려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루 동안 입은 옷을 세탁한다고 했을 때 7kg이면 약 7일 분량의 세탁물일 수도 있다.
세제 사용지수라는 것이 있다.
세제 사용지수는 1회 세탁량에 필요한 적정 세제 사용량을 나타내는 표준지수로 숫자 3과 7로 표시된다.
우리나라 4인 가족 기준 1회 평균 세탁량이 약 7kg인 경우 세제 사용지수는 7이 되고, 적정 세제 사용량은 계량컵 1컵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1인 가구 기준 7일 동안 입은 옷을 한꺼번에 모아 세탁하지는 않는다.
평균적으로는 하루나 이틀 정도 입은 옷을 세탁바구니 등에 모아 세탁하게 되는데 이는 약 2~5kg 정도의 옷감 무게다.
그러니 이때의 가루 세제는 많이 쓴다고 해도 세제 스푼의 반 컵, 3분의 2컵 정도면 적당하다.
세탁물 무게 가이드에 따르면 대강의 옷의 무게(g)는 다음과 같다.
속옷 약 130
티 약 50
청바지 600
남방 약 300
양말 1켤레 약 50
타월 약 150
세제마다 다르지만 세제 스푼의 무게는 대략 3g 정도다.
가득 채웠을 때 56g(스푼무게 포함)이다. 반 컵으로 보면 약 27g이 된다.
그렇다면 실제 세탁 세제에 표시되어 있는 양과 무게는 어떻게 될까.
가루 세제 기준
테크 : 3kg /35g , 5kg/50g, 7kg/57g
스파크 : 3kg/42g, 5kg/59g, 7kg/65g
적정 세제량을 사용하려면 구입한 세탁 세제의 기준을 따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한 컵 이상을 쓸 정도의 양을 한 번에 세탁할 일은 드물 것이고, 세제를 많이 쓴다고 좋은 것도 아니다.
세탁세제의 과다사용은 오히려 세척력을 감소시키고
세탁 후 옷에 남는 다량의 세제찌꺼기는 민감한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물과 전력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탄소배출량을 증가 시키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한다.
빨래할 땐 3,7! 세제사용지수 지켜 건강하고 스마트한 빨래를
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부 (2010)
실제로 한 컵의 무게를 부어보면 아주 많은 세제 양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하게 오염되지 않은 이상 하루 이틀 정도의 세탁물 세탁 시 보통 세제 계량컵 반 정도면 충분하다.
개인 간 옷의 양, 세제 종류에 따라 오차는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