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유기질과 무기질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

 

화합물은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로 나눠진다. 화합물은 '둘 이상의 원소의 원자를 가진 동일한 분자로 이루어진 물질'을 뜻하는데 유기 화합물은 광물, 식물의 성분, 배출물 등에서 얻어지는 화합물이고 무기 화합물은 유기질을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을 뜻한다.

탄소는 모든 유기 화합물에서 발견되지만 무기 화합물에서는 발견되지 않기에 화학에서 유기질은 탄소를 함유한 화합물로, 무기질은 탄소를 함유하지 않은 화합물로 분류하기도 한다.

 

유기화합물

탄소가 존재한다.

고체, 기체, 액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주로 대부분의 생물에서 발견된다.

탄소, 수소 결합을 가진다.

생물학적으로 복잡하다.

물에 녹지 않는다.

휘발성과 인화성이 높다.

 

무기화합물

일부 예외가 있으나 대부분 탄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고체로 존재한다.

주로 대부분의 무생물에서 발견된다.

탄소, 수소 결합이 없다.

광물로서 복잡하지 않다.

물에 녹는다.

인화성이 없고 비휘발성이다.

 

 

stock.adobe.com

 

유기질, 무기질

 

유기질과 무기질은 화합물에 따라 유기물과 무기물을 주성분으로 한 물질로 분류한 것이다.

화학에서 일컫는 유기화합물, 무기화합물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말이나 유기물과 무기물은 생물유래라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화합물이 탄소 화합물이라면 유기물은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라고 할 수 있다.

 

stock.adobe.com

 

일상에서는 무기질과 유기질은 토양과 관련한 비료 등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말이지만 사람의 신체와 건강, 음식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용어이기도 하다. 특히 사람의 영양소로서 유기질과 무기질이 거론될 때는 무기질이 더 중요하게 일컬어지는데 무기질은 다른 영양소로부터 합성되거나 전환될 수 없어 반드시 식사로 섭취해야 하기 때문이다.

 

ㅇㅇㅇ

 

미네랄 mineral

 

무기질은 익히 들어봤을 법한 미네랄이라고도 하며 사람 몸에 필요한 5대 영양소 중 하나다.

 

 

사람 몸에 필요한 영양소

영양소란 우리가 흔히 영양소를 떠올릴 때 영양소는 음식의 섭취를 통해 얻고 몸의 에너지를 낼 때 쓰이는 것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영양소를 "성장을 촉진하고 생리적 과정에

drawtoday.tistory.com

 

무기질은 필요양에 따라 다량 무기질과 미량 무기질로 분류되고 다량 무기질은 많이 섭취해야 하고, 미량 무기질은 조금만 필요해도 되는 무기질이다.

 

다량 무기질 : 칼슘, 인, 황, 칼륨, 나트륨, 염소, 마그네슘 (1일 100mg 이상)

미량 무기질 : 철, 아연, 구리, 요오드, 셀레늄, 망간 (1일 100mg 미만)

 

우리 신체는 약 96%의 유기질과 4% 정도의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무기질은 체내의 여러 가지 생리적 활동에 필요하며 보통 성인에게 필요한 양은 미량이지만 부족 시 각종 결핍증을 유발하게 된다.

 

stock.adobe.com

 

미네랄이라는 용어는 미네랄워터 등의 물과 관련한 식품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미네랄(무기질)은 물에 잘 녹아 수시로 마시는 물속에 미량의 미네랄(칼슘,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으면 몸에 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미네랄은 채소, 과일 등을 통해서도 섭취할 수 있다.

 

stock.adobe.com

 

무기질은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로 신체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데 다양한 작용을 한다.

미네랄은 채소와 견과류,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식품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니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728x90
그리드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탕 대체제  (0) 2022.06.21
대상포진 원인과 증상  (0) 2022.06.14
약 정보 사이트  (0) 2022.06.08
심근경색 증상과 원인  (0)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