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과 수두의 바이러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계, 피부질환이다.
흔히 어릴 때 앓게 되는 수두와 대상포진의 감염 바이러스는 같은데 수두가 소아기 때 걸리는 초기 감염이라면,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수두에 걸렸던 사람의 몸에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가 무증상으로 남아있다가 몸의 면역체계가 약해졌을 때 다시 감염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상포진의 발생(재활성화)은 몸에 질병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성인의 대상포진은 몸이 약할 때 다시 나타나는 피부질환의 일종일 뿐이다.
즉, 대상포진이란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수두 바이러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돼 발생하는 질병이라 할 수 있다.
대상포진 증상과 치료
대상포진이 발병하면 몸이 간지럽거나 통증이 나타나고 피부에 발진과 수포(물집)이 나타난다.
발진 없이 통증만 있는 경우도 있다.
수포(물집)는 고름이 차고 색이 탁해지다 딱지로 변하면서 낫게 된다.
대상포진은 항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해 치료한다.
대상포진은 서서히 가려움 및 통증에서 점차 발진과 수포로 이어지기 때문에 증상을 알아채기 쉽지 않으나 증상 발견시 치료를 바로 시작하는 것이 좋고, 완치 후에도 증상을 잘 관리해서 추후 세균 감염 등이 없도록 주의하는 게 좋다.
대체로 대상포진은 면역 기능이 약해진 고령자에게 많이 발병하지만 젊은 사람이라고 해서 발병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게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게 좋다.
대상포진의 전염
소아기 일 때 걸릴 수 있는 수두, 홍역은 감염되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백신접종으로 잘 발병하지 않지만 간혹 수두는 아이들이 앓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수두와 대상포진의 바이러스는 같다. 그러나 대상포진은 내 몸 안에 있던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재활성되는 것이므로 대상포진 자체는 전염되지 않는다.
하지만 몸의 수포(물집)가 터지거나 건드려지면 수포 안에 있던 바이러스가 수두를 전염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포진이 발병하면 수두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 유아, 임산부, 질병에 취약한 고위험군과의 접촉은 피하는 것이 좋다.
만약 대상포진 발병자로 인해 감염된다면 수두를 앓은 적이 있는 사람에게는 대상포진으로, 수두를 앓은 적이 없다면 수두로 나타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