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의미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의 깃면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에 하늘과 땅, 물과 불을 상징하는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며 태극 문양은 음(陰 : 파랑)과 양(陽 : 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 것이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 : 음, 양)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흰색 바탕 : 밝음, 순수, 평화
태극 문양 : 음과 양의 조화
4괘 :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
건괘 (乾卦) : 하늘
곤괘(坤卦) : 땅
감괘 (坎卦) : 물
이괘 (離卦) : 불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국기 다는 날
국기를 다는 날은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현충일, 국군의 날이다.
국기를 다는 것을 게양이라고도 하는데 게양은 사전적 의미로 기 따위를 높이 거는 것을 뜻한다.
국기는 국경일과 기념일에 게양하게 된다.
국경일
3월 1일(3·1절)
7월 17일 (제헌절)
8월 15일 (광복절)
10월 3일 (개천절)
10월 9일 (한글날)
3·1절 : 국권 회복을 위해 민족자존의 기치를 드높였던 선열들의 위업을 기리고 3·1 독립정신을 계승·발전시켜 민족의 단결과 애국심을 고취함
제헌절 : 자유민주주의를 기본이념으로 한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을 축하하고 그 이념수호를 다짐하며 준법정신을 앙양함
광복절 : 잃었던 국권의 회복을 경축하고 독립정신의 계승을 통한 국가발전을 다짐함
개천절 : 홍익인간의 개국이념을 계승하고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함
한글날 : 우리 민족사에 가장 빛나는 문화유산인 한글을 반포하신 세종대왕의 위업을 기리고, 한글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대내외에 널리 알려 문화민족으로서 국민의 자긍심을 일깨움
기념일
6월 6일 (현충일)
10월 1일 (국군의 날)
현충일 :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戰歿將兵)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위훈(偉勳)을 기린다.
국군의 날 : 한국군의 위용과 전투력을 국내외에 과시하고 국군장병의 사기를 높인다
현충일 같이 조의를 표하는 날에 게양하는 국기는 조기 게양이라고 한다. 국경일에 다는 국기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다는 반면 조기는 깃면의 너비(세로)만큼 내려서 조기임을 알아볼 수 있도록 단다.
국기 다는 위치와 시간
국기를 달 때는 정면 기준으로 왼쪽 또는 중앙에 게양한다.
단독주택 : 대문의 중앙 또는 왼쪽에 게양
공동주택(아파트) : 앞쪽 베란다의 중앙 또는 왼쪽에 게양
차량 : 정면에서 봐서 왼쪽에 게양
국경일과 기념일에 가정에서 국기를 달 때는 아침 7:00에서 저녁 6:00까지 달도록 하며 국기가 심한 눈, 비와 바람 등으로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는다.
*이 글은 행정안전부 사이트의 글을 참고해 작성하였습니다. 태극기와 국기 게양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다면 행정안전부 웹사이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사이트의 내용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나 감독판 (0) | 2022.08.18 |
---|---|
간장의 종류와 차이 (0) | 2022.08.17 |
CJ 고메 사천 탕수육 (0) | 2022.08.14 |
바넘 효과와 점 (0) | 202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