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도
해상도는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의 개수를 뜻하는 말이다.
대표적인 해상도 크기는 다음과 같다.
HD 1280 X 720
FHD 1920 X 1080
QHD 2560 X 1440
UHD 3840 X 2160 (4K)
해상도는 가로와 세로 값으로 표시하며 크기가 클수록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의 수가 많으므로 화질이 선명하다.
대체로 화질을 나타낼 때는 세로 값을 사용해 720p, 1080p 등으로 표시하며 HD, FHD, 4k (UHD)로 일컫기도 한다.
p(Progressive)는 영상의 스캔방식을 뜻한다.
720p와 1080p차이 체감하는 법
해상도가 크면 클수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픽셀의 개수가 많으므로 화면이 선명하다. 그러므로 당연히 화질은 720p보다는 1080p가 선명하며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질은 개인과 기기에 따라 다 다르게 체감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무조건 해상도가 크다고 해서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4k의 영상을 제대로 구현해 보려면 기기 또한 4k를 지원해야만 최적의 상태에서 영상 화질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기기(TV/모니터)가 4K라고 하더라도 시청 영상의 화질이 4K 화질로 제작되지 않았다면 그 이상의 화질은 표시되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무조건 고화질, 고해상도라고 해서 완벽히 다 좋다고 할 수는 없다.
물론 보편적인 기준에서 해상도가 클수록 화질도 좋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나 화질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개념이라고 봐야 한다.
예컨대 취향에 따라 누군가는 4K의 크고 선명한 영상을 좋아할 수도 있지만 너무 크고 선명한 영상은 부담스러워 선호하지 않는 사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상의 화질 차이를 판단할 때는 해상도 그 자체보다는 시청할 사람, 즉 나의 기준에서 판단해야 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720p, 1080p, 4k 등의 화질 차이를 어떻게 체감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해상도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을 모두 시청해 볼 수 있는 매장이나 장소에 방문해 체감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여러 환경에서 별도의 해상도를 다 체감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그때는 유튜브 영상들을 통해서도 일부 화질 차이를 체감해 볼 수 있다.
간혹 유튜브에서 설정을 보면 여러 화질의 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제작된 영상들이 있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맞는 화질 해상도를 알고 싶다면 유튜브에서 다양한 화질을 제공하는 영상을 찾아 나의 기기에서 720p와 1080p, 4k 등의 설정을 변경해 시청해 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고해상도 일수록 좋다 같은 기준은 있으나 화질은 기기마다 다 다르게 재생되고 시각은 자신이 보고 판단해야 정확한 것이므로 직접 자신이 보고 느끼는 게 낫다.
물론 그것만으로 체감이 확실히 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의외로 너무 고화질의 영상은 자신의 취향이나 기기에 맞지 않다고 여겨지거나 또는 너무 저화질로는 시청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대체로 여러 영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화질은 1080p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형과 네크라인 (0) | 2023.03.13 |
---|---|
이케아 적층식 침대 우토케르 조립 사용 후기 (0) | 2023.03.12 |
청소세제 종류와 pH (0) | 2023.03.11 |
도자기 그릇 얼룩 제거하는 법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