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식품첨가물 종류

 

식품첨가물이란 "식품을 제조, 가공, 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甘味), 착색(着色), 표백(漂白)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식품첨가물에는 보존료, 감미료, 발색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유화제, 착색료, 착향료, 표백제, 소포제, 팽창제, 피막제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식품첨가물 목록은 매우 포괄적으로 수십 가지에 달한다.

 

식품첨가물의 정의

 

보존료 (방부제) : 미생물에 의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 식품첨가물

살균제 : 식품 표면의 미생물을 단시간 내에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식품첨가물

발색제 : 식품의 색을 안정화시키거나,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식품첨가물

산화방지제 (항산화제) : 산화에 의한 식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식품첨가물

감미료 : 식품에 단맛을 부여하는 식품첨가물

착색료 : 식품에 색을 부여하거나 복원시키는 식품첨가물

표백제 : 식품의 색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첨가물

유화제 : 물과 기름 등 섞이지 않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상을 균질하게 섞어주거나 유지시키는 식품첨가물

팽창제 : 가스를 방출하여 반죽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식품첨가물

피막제 : 식품의 표면에 광택을 내거나 보호막을 형성하는 식품첨가물

소포제 (거품제거제) : 식품의 거품 생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식품첨가물

이형제 : 식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원료가 용기에 붙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식품첨가물

 

출처_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식품첨가물의 종류

 

보존료 (방부제) :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피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살균제 (소독제) : 치아염소산나트륨, 표백분

산화방지제 (항산화제)

인공산화방지제 /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몰식자산프로필, 에르소르빈산염

천연산화방지제 /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C (아스코르브산)

소맥분개량제 : 과산화벤조일, 과황산암모늄, 이산화염소, 브롬산칼륨, 괴붕산나트륨

유화제 (계면활성제) : 레시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호료 (증점제, 안정제) : 젤라틴, 한천, 카제인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품질개량제 (결착제) : 인산염류

피막제 : 초산비닐수지, 몰포린지방산염

팽창제 : 효모(이스트), 명반, 탄산수소나트륨

감미료 : 사카린나트륨,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아스파탐, 글리실리진산나트륨

조미료 : 글루탐산나트륨, 호박산, 이노신산, 구아닐산

산미료 : 초산, 구연산, 주석산, 젖산

표백제 : 과산화수소, 치아염소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착색료 : 타르색소(식용색소 녹색, 황색, 적색 1, 2, 3), B-카로틴, 동클로로필린나트륨, 철클로로필린나르륨

발색제 : 아질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황산 제1철, 황산 제2철

착향료 : 멘톨, 바닐린, 계피알데히드

소포제 : 규소수지(실리콘수지)

추출제 : n-헥산

용제 :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껌기초제 : 초산비닐수지, 에스테르껌,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텐

이형제 : 유동파라핀

방충제 : 피페로닐부톡사이드

훈증제 : 에틸렌옥사이드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식품첨가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통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대부분의 각 식품첨가물은 특정한 용도와 안전성을 검토 받고 승인된 후에 사용될 수 있어 안정성에 유해하지 않으나 아우라민, 둘신, 롱가릿, 붕산, 포름알데히드, 승홍 등의 금지되거나 제한된 유해첨가물도 있다.

 

 

사진 출처 : freepik, flaticon

728x90
그리드형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대야 기준  (0) 2024.08.02
우리나라 향토음식 종류와 특징  (0) 2024.08.01
한우물 주먹밥 후기  (0) 2024.07.30
비난 비판 차이  (0) 202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