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음식이 빨리 익는 순서

 

바로 먹을 수 없는 식재료는 익혀서 먹어야 한다.

그리고 익히는 조리 방법에는 크게 끓이기, 볶기, 굽기, 튀기기, 삶기, 찌기 등이 있다.

 

음식이 빨리 익는 순서는 재료의 종류, 크기, 두께, 조리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볶기, 굽기, 튀기기, 끓이기, 삶기, 찌기 순서로 조리 시간이 짧고 빨리 익는다.

 


음식 빨리 익는 순서
볶기 > 굽기 > 튀기기 > 끓이기 > 삶기 > 찌기

 

 

볶기

방법 : 팬에 기름을 두르고 재료를 빠르게 볶아 익히는 방법.

특징 : 고온에서 재료를 자주 젓거나 뒤집어 익히며, 재료가 고르게 익고 바삭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음.

조리시간 : 얇게 썬 재료를 기름으로 예열된 높은 온도의 불에서 빠르게 익히므로 가장 빠름.

 

 

굽기

방법 : 팬이나 그릴에서 직접 불로 재료의 표면을 익히는 방법.

특징 :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게 익히고, 그릴에서 익히면 특유의 향이 나고 팬에서는 기름에 의해 조금 더 기름진 맛이 남.

조리시간 : 높은 온도로 빠르게 익히나 재료의 두께에 따라 내부까지 익히려면 시간이 더 걸리기도 함.

 

 

튀기기

방법 : 뜨겁게 예열된 다량의 기름에 재료를 넣어 완전히 익히는 방법.

특징 :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게 익힘. 

조리시간 : 예열된 기름의 온도로는 빠르게 익지만, 기름이 뜨거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기름 온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끓이기

방법 : 물을 끓여 재료를 익히는 방법.

특징 : 수분이 많아 재료가 부드럽게 익음.

조리 시간 : 물이 끓으면 빠르게 익는 편이나 물이 끓는 시간은 기름의 예열 시간에 비해 시간이 더 소요되는 편임.

 

 

삶기

방법 : 끓는 물에 재료를 넣어 익히는 방법. 

특징 : 재료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부드럽게 익음.

조리시간 : 물을 끓여 내부까지 익히지만 물의 온도가 100°C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걸림.

 

 

찌기

방법 : 끓는 물에서 나오는 수증기로 재료를 익히는 방법.

특징 : 재료가 수분을 보존하면서 익혀져 영양소 손실이 적고,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함.

조리시간 : 뜨거운 수증기로 익히는 방식이라 가장 천천히 익음. 반조리된 재료는 빠르게 찔 수 있기도 함.

 


 

그중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조리법은 볶기, 굽기, 끓이기인 편이지만 조리 시간은 재료의 두께와 특성, 조리 온도 및 여러 조리 방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만약 물을 끓이거나 기름을 예열하는 등의 준비 과정을 동시에 진행한다면 볶기, 튀기기, 굽기, 끓이기, 삶기, 찌기 순서대로 조리 시간이 짧아질 수도 있다.

 

 

한편 양념이 재료에 골고루 배는 속도는 삶기, 찌기, 끓이기, 볶기, 튀기기, 굽기 순으로 삶기가 가장 빠르고 굽기가 가장 느리다.

양념이 골고루 배는 조리 순서
삶기 > 찌기 > 끓이기 > 볶기 > 튀기기 > 굽기

 

삶는 조리법에서 양념이 가장 잘 배는 이유는 수분이 많을수록 재료의 조직이 부드러워져 양념이 쉽게 스며들기 때문이다.

반면 튀기기나 굽기는 조리 과정에서 재료의 수분이 빠져나가고 표면이 단단해져 양념이 스며들기 어려워 가장 늦게 양념이 배게 된다.

 

 

따라서 이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요리하고자 한다면, 빠르게 익히려면 기름을 이용한 조리 방법을 먼저 사용하고, 그다음으로 물을 끓이는 조리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면 양념이 잘 배게 하려면 이와 반대로 물을 이용한 조리 방법을 먼저 사용한 후 기름을 이용한 굽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조리 방법은 식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데다 여러 가지 방법을 혼합해 동시에 사용하기도 하므로 위의 순서가 항상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장 간편하고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식재료로는 냉동식품, 반조리식품, 간편 식품 등이 있듯이 말이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