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충혈 되었다.
이유가 뭘까.
눈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충혈 될 수 있다.
1. 눈의 피로
2.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3. 눈의 질환 (감염, 알레르기, 염증)
익히 알듯이 충혈은 몸의 일정한 부분에 피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모인 증상을 뜻하며, 눈의 충혈은 눈의 흰자위가 빨갛게 된 상태를 뜻한다. 눈이 빨갛게 되는 이유는 눈이 피로하거나 자극을 받으면 많은 산소와 영양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혈류량이 눈에 증가하며 몰리기 때문이다. 또한 충혈은 결막에 분포하고 있는 모세혈관이 손상되거나 확장되어 흰자위가 붉게 보이는 현상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눈의 충혈(결막 충혈)은 안약을 사용하거나 피로감과 이물질 등이 사라지면 서서히 없어지는 편이나 충혈과 함께 통증, 이물감, 분비물, 염증,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생기고 장시간 지속되면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눈과 관련한 질환으로는 안구건조증, 결막하 출혈, 각막염, 결막염, 백내장, 녹내장, 안검하수, 황반변성, 망막박리, 야맹증, 실명, 다래끼, 노안 등등이 있다.
일시적인 충혈에는 안약(점안액)을 사용하게 된다.
콘택트 렌즈 등의 착용으로 눈의 산소와 눈물이 부족해 눈이 시리거나 건조하게 되면 인공눈물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인공눈물은카복시메틸셀룰로스, 히알루론산 등의 성분이 주로 쓰이고 안약에는 항히스타민제 같은 성분이 포함되기도 한다.
눈에 넣어 사용하는 것은 비슷하므로 인공눈물, 안약, 점안액 등의 단어가 혼동되기도 하는데 인공눈물과 안약, 점안액이 크게 다른 것은 아니다.
정확한 약은 성분을 살피고 증상에 맞게 전문의의 처방으로 인해 구입하는 것이 좋다. 약성분과 제품에 관한 것은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의약품등 정보- 의약품 및 화장품 품목정보-의약품 등 정보검색을 통해 보다 자세한 확인 가능하다.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등검색, 의약품 사이버민원, 제품 및 제조사 정보, 의약품광고검색, 규격기준정보 등 수록
nedrug.mfds.go.kr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인공눈물로 많이 사용하는 프렌즈 아이드롭 점안액 주 성분은 염화칼륨,염화나트륨,포도당이고 충혈 등일 때 사용하는 나조린 점안액 주 성분은 말레인산페니라민, 나파졸린염산염인 것을 볼 수 있다.
눈이 충혈 되었을 때는 전문의를 통해 약의 처방 및 약국에서 구입한 점안액 등을 통해 치료할 수도 있겠지만 눈에 들어간 이물질 때문에 그럴 수도 있다. 눈은 겉으로 보기에는 흰자위와 검은자위, 속눈썹 등으로 되어있지만 자세히 측면에서 보면 겹겹이 층을 이루며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강의 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눈꺼풀 : 눈알을 덮고 있으며 눈 위아래로 움직이는 부분. 안검이라고도 한다.
동공 : 눈의 눈동자. 눈의 한가운데의 빛이 들어가는 부분.
각막 : 동공과 홍채를 덮고 있는 눈 앞의 투명한 막.
홍채 : 눈의 색이 있는 부위. 빛의 양을 조절. 카메라와 비교하면 조리개 역할과 비슷하다.
공막 : 각막을 제외한 눈의 바깥벽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막.
물 등에 씻어내도 계속 아프거나 아무리 봐도 이물질이 보이지 않는 경우 눈꺼풀이나 내안각(눈 안쪽) 부근에 머리카락이나 속눈썹 등이 박혀있을 수도 있다. 자세히 보니 피로나 렌즈, 혹은 감염 등의 다른 원인이 없는데 눈이 충혈된 이유는 그것이었다. 그러니 눈이 갑자기 충혈 되었다면 눈 안을 잘 살펴보고 이물질을 제거해주고 기타 다른 충혈된 이유를 유심히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안약은 눈의 혈관을 수축시켜 눈의 충혈이 가라앉게 하지만 안약을 많이 넣으면 안약에 의존하게 될 수 있는데다 약의 성분으로 인해 눈에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찌는 순서 (0) | 2022.03.27 |
---|---|
사람 몸에 필요한 영양소 (0) | 2022.03.25 |
수면과 불면증 (0) | 2022.02.27 |
혈액의 중요성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