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점점 더워지고 있다.
여름에 강아지 털 잘라줘야 할까.
사실만을 이야기하자면 개의 피부에는 더운 날씨에서 체온을 발산할 수 있는 땀샘이 없다.
아마 더운 날씨에 사람은 땀을 흘리지만 강아지가 땀을 흘리는 모습을 본 적은 없을 것이다. 털을 다 자르더라도 좀처럼 강아지의 몸에서 땀 같은 성분이 만져지는 일은 없다. 그것은 다 땀샘이 없기 때문이다.
강아지의 발바닥에 땀샘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체온 조절에서 그 역할은 크지 않은 편이다.
사람이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올라가는 체온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그렇다면 땀샘이 없는 강아지는 어떻게 더위를 식할까.
강아지는 헐떡거린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 헐떡임으로 체온을 조절하는 강아지에게 일반적으로 털의 여부가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개의 털은 피부와 외부 환경 사이의 단열재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겨울에는 추위로부터 보호하고 여름에는 태양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털은 뜨거운 햇빛을 반사시키며 털갈이를 통한 털 속 공간에는 바람이 순환해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여름에 더워 보인다고 해서 강아지 털을 자르는 것은 좋은 선택은 아닐 수도 있다.
아마 대부분의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이라면 강아지 털을 자른다고 해서 강아지나 고양이가 여름에 시원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결국에는 자르게 된다.
보호자가 보기에도 강아지가 더워 보이고 너도나도 지나가면서 강아지 더워보인다 등의 한 마디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여름에도 털을 자르지 않고 잘 지내는 보호자도 많지만 대체로 여름에 헐떡거리고 더워 보이는 강아지가 걱정되는 것이 사실이다. 어디까지나 다 사람의 생각이긴 하지만 기존의 알려진 것과 달리 도시 환경의 강아지는 아주 많이 더울지도 모른다.
게다가 털이 많은 장모종 같은 경우 여름에 벌레가 붙으면 털로 인해 잘 안 보이기도 한다.
어쨌거나 강아지는 미용을 좋아하지 않는 것은 분명하지만 여름에는 고민하다 자르게 되는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다.
여름에 강아지 털을 자르지 않을 거라면, 헝클어지고 정리되지 않은 털은 공기 순환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빗질을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잘라 줄 거면 너무 빡빡 밀지 않고 일부 남겨두는 게 좋다.
완전히 털을 다 밀어버리면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털을 미용하지 않더라도 배만 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강아지 미용에 대해 덧붙이자면 평소 털이 빠지는 것이 불편해서 미용을 하기도 하는데 보호자라면 너무 잦은 미용은 강아지의 털을 자라지 않게 만드는 등의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특히 잦은 미용으로 속 털이 잘 자라지 않게 되면 강아지는 뜨겁고 차가운 온도를 처리하는 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계절은 여름만 있는 것이 아니다.
'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꼬리의 의미 (0) | 2022.09.11 |
---|---|
강아지와 개 (0) | 2022.07.26 |
강아지가 계속 긁을 때 (0) | 2022.04.15 |
강아지 예방접종 (0) | 2022.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