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들

 

그림들, SUN 도슨트

나무의 마음 출판

 

미국 현지의 미술관 도슨트가 모마 미술관의 대표 컬렉션 16편을 선정해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고흐부터 바스키아까지 익숙한 화가들의 작품이 많고 글이 쉬워 편하게 읽을 수 있다.

 


 

 

모네가 죽고 몇 달이 지난 1926년 12월, 그와 친구처럼 지내던 당시 프랑스 수상 조르주 클레망소의 제안으로 오랑주리 미술관은 대형 수련 패널 8개를 연결하며 특별 전시 공간을 만든다. 미술관 측은 모네가 생전에 수련 작품을 전시할 때 꼭 지켜줬으면 하고 바랐던 몇 가지 요소를 그대로 살렸다.

 

© Brady Brenot (commons.wikimedia.org)

 

"하나, 평면이 아닌 곡선 형태의 빙 둘러진 모습이었으면 좋겠소.

둘, 전시실 벽이 하얀색이면 좋겠고,

셋, 자연광이 전시실 안으로 잘 들어왔으면 좋겠소."

모네는 자신의 작품을 관람하는 이들이 마치 지베르니 정원에서 수련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기를 원했던 것이다.

실제로 오랑주리 미술관은 천장을 통해 자연광이 들어와 해가 뜨고 지는 모습까지 담길 수 있도록 했다.

 

 

"당신의 작품에는 빈 공간이 왜 이렇게 많나요?"

"화가는 더 이상 세부 사항을 그려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건 사진이 훨씬 더 정확하게 옮길 수 있으니까요."

"그림은 왜 이렇게 단순한가요?"

"단순함이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가장 강력한 도구이기 때문이죠."

"그럼, 도대체 당신이 전하려는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기쁨입니다. 행복이죠."

 

 

 

말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림을 그릴 이유가 없다.

 

 

"그림 안에 있는 이 글을 좀 해석해 주시겠어요?"

"해석이요? 그냥 글자인데요."

"그럼 그 글자들은 어디에서 따온 겁니까?"

"글쎄요, 음악가에게 음표는 어디에서 따오는지 물어보신 적 있나요? 당신의 말은 어디에서 따온 거죠?"

"그럼, 당신은 그림을 어떻게 그리나요?"

"어떻게요? 글쎄요, 연주자에게 악기가 어떤 원리로 소리를 내는지 물어보신 적 있나요?

'자동으로' 연주되는 거 아닌가요?"

 

 

 

 

똑같은 것을 많이 보면 볼수록 의미는 점점 멀어지고, 감정은 점점 비워지며, 심지어 좋아 보이기까지 한다.

 


지금까지 본 적 없는 듯한 직관적인 그림들이란 책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아울러 모마 미술관이 그 그림을 어떻게 소지하게 되었는지 짧게 소개되어 있는 것도 좋았다.

 

728x90
그리드형